Brand Story
브랜드 스토리
꽃이 피고 지는 수순 속에서, 잎의 존재는 중요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타이포그래피 또한 디자인에 있어 가장 기틀이 되는 요소이기도 합니다.
‘잎’은 식물의 기본적인 생명활동 기관인 잎에 빗대어
가장 기틀이 되는 타이포그래피를 주축으로 이야기를 전재합니다.
Study Paper
한글날 학습지
『일공구잎1: 형태를 통해 배우는 한글 학습지』
『일공구잎1: 형태를 통해 배우는 한글 학습지』는 기본적으로 한글의 자음과
모음 순서를 익히고, 자음과 모음을 직접 따라 써본 뒤 그 형태들을 정확하게
구분하는 것까지를 목표로 합니다. 각 자음에서 모티프를 따와 개성 있는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글자들과 함께 즐겁게 한글을 학습할 수 있습니다.

Study Paper
한글날 학습지
『일공구잎2: 연결을 통해 배우는 한글 학습지』
『일공구잎2: 연결을 통해 배우는 한글 학습지』는 자음과 기본 모음을
결합하여 단어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이해하고, 그림과 글자를 연관지어
학습할 수 있습니다. ‘십자말풀이’, ‘문장 잇고 완성하기’ 등을 통해
단어 구성 방법을 완전히 체득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tudy Paper
한글날 학습지
『일공구잎 부록』
『일공구잎 부록』에서는 개성 있는 자음과 모음 그래픽의 모티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한글의 무한한 확장 가능성과 다채로움을
엿볼 수 있습니다.

Word Card
한글날 낱말 카드
다양한 사물의 아름다움을 담은 한글 낱말 카드를 소개합니다.
여러가지 모티프를 기반으로 탄생한 새로운 한글의 아름다움과
다양성을 함께 만나보세요.




김채영
Kim Chaeyoung
그네의 줄과 그네의 부품의 형태를 모티프로 탄성 있는
느낌을 살리고자 하였습니다.




김민지
Kim Minji
깍지 낀 손을 모티프로, 손끼리 맞잡은 형태를
살려 만들었습니다.




윤주향
Yoon Juhyang
나비의 구조적 형태와 곡선적 움직임을 모티프로
작업했습니다. 나비가 날아오를 때의 동선과 역동감을
가로획에 적용했습니다.




장서진
Jang Seojin
돌고래의 몸체와 지느러미의 유기적인 곡선 형태를
시각화 하였습니다.




김한슬
Kim Hanseul
땅콩 겉껍질의 거칠거칠하면서도 유기적인
모습을 두꺼운 획으로 표현해 보고자 했습니다.




김유민
Kim Yumin
털실 뭉치의 울퉁불퉁한 표면 질감을 글자의
형태에 적용했습니다.




강유림
Kang Yurim
모자의 실루엣을 모티프로 작업했습니다. 모자를
구성하는 두꺼운 크라운(머리) 부분과 얇은 창의 형상을
이용하여 강한 획의 대비를 주고자 하였습니다.






김민채
Kim Minchae
빙하를 모티프로 단단하고 힘있는 모습을 표현했습니다.
바다에 숨겨진 빙하처럼 보이지 않지만 깊이 있는
한글의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습니다.






손다현
Son Dahyun
갓 구운 식빵을 모티프로 둥글둥글한 이미지에 발랄한
인상을 더해 만들고자 하였습니다.






이종희
Lee Jonghee
솜이 지닌 보송송한 감촉을 모티프로 하였습니다.






윤보녕
Yoon Bonyeong
쌀알의 형태를 모티프로 작업했습니다.
쌀알 특유의 파임과 부드러운 듯 각진 곡선들의
조화를 각 자모음의 형태에 접목하고자 하였습니다.




김채영
Kim Chaeyoung
온음표와 음표 꼬리의 형태를 차용하여 작업했습니다.




김민지
Kim Minji
잔꽃이 피어 있는 작고 귀여운 형태감을 모티프로
작업했습니다.




윤주향
Yoon Juhyang
쪽지를 접을 때 발생하는 종이 특유의 각도와 형태를 모티브로
하였습니다. 획이 많이 뭉치는 부분에는 잉크트랩(Ink Trap)을
넣어 글자가 분명히 인식되도록 했습니다.




장서진
Jang Seojin
책의 물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형태를
시각화하였습니다.




김한슬
Kim Hanseul
콩의 매끈한 표면과 둥근 모습을 얇고 기하학적인
획과 내부의 속공간을 활용해 표현해 보고자
하였습니다.




김유민
Kim Yumin
털실 뭉치의 울퉁불퉁한 표면 질감을 글자의 형태에
적용했습니다.



